콘크리트 유토피아(Concrete Utopia)는 2023년 개봉한 대한민국의 스릴러 영화로, 엄태화 감독이 연출하였으며, 김숭늉 작가의 웹툰 '유쾌한 왕따'의 두 번째 부분인 '유쾌한 이웃'을 원작으로 합니다. 이 영화는 대지진으로 폐허가 된 서울을 배경으로, 유일하게 무너지지 않은 '황궁 아파트'에서 벌어지는 생존자들의 이야기를 다룹니다.
영화를 다시보실 분은 아래로 가시면 바로 보기로 이동합니다.
개요 재난드라마, 액션, 블랙코미디, 130분
개봉 2023.8.9
관객수 384만 명
등급 15세 이상
소행성 충돌 후 폐허가되버린 서울,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대지진이 발생한 후, 모든 건물이 무너지고 황궁 아파트만이 남게 되는 상황을 그립니다. 생존자들은 이 아파트로 모여들며, 내부 주민들과 외부인 간의 갈등이 심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이기심과 생존 본능이 드러나며, 진정한 재난은 외부 환경이 아닌 인간성의 붕괴임을 보여줍니다.
황궁아파트 103동 902호에 거주하며 생존자들을 이끄는 인물입니다. 위기상황 속 단호한 결단력과 행동력으로 "황궁아파트"를 이끄는 임시 주민대표가 되었으며 외부인들로부터 아파트를 지키기 위해 어떤 위험도 마다하지 않는 리더입니다.
사람이 권력을 가지게 되었을 때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인물입니다.
김민성 / 박서준
황궁아파트 103동 602호에 거주하는 주민으로 행정학을 전공한 공무원이며 영탁의 눈에 들어 방범대로 발탁된 후 실력을 인정받아 영탁의 중요한 조력자가 됩니다. 아내 명화와는 대학 때 소개팅에서 만나 결혼한 사이이지만 눈앞에 펼쳐진 잔혹한 현실 앞에 아내와 계속되는 갈등이 생깁니다.
주명화 / 박보영
민성의 아내로 황궁아파트의 주민입니다. 극한의 상황에서도 침착하게 대처하며 아픈 이들을 돌보는 따뜻한 인간미와 강인함을 지닌 인물입니다. 아프고 다치고 배고픈 사람들을 돌봐주는 명화, 어떤 잔혹한 상황에서도 인간성을 유지하는 명화는 눈앞에 닥친 참담한 현실을 마주하고 점점 달라지는 민성과 갈등을 겪게 됩니다.
김금애 / 김선영
황궁아파트의 부녀회장으로 처음에 주민대표로 추대받았지만 화재 때 도움을 준 영탁을 추천하며 자신은 아파트의 위생관리, 식량배급을 맡습니다. 하지만 결국 자신의 아들이 죽어서 돌아오자 영탁의 뺨을 때리며 비난하지만 그래도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해내는 인물입니다.
문혜원 / 박지후
황궁아파트 주민으로 부모님의 별거로 가출을 했다가 재난이 일어난 후 천신만고 끝에 황궁아파트로 돌아온 인물입니다. 하지만 옆집 살던 김영탁이 어릴 때 추파를 던진 기억이 있는데 다시 돌아온 아파트의 김영탁은 왠지 낯선 느낌이 들어 의아해합니다.
도균 / 김도윤
황궁아파트 103동 809호 주민으로 가구 디자이너입니다. 아파트 내에서 비협조적인 인물로 보이지만 실상은 재난을 당하고 점점 타락해 가는 인간들 사이에서 소신을 지키는 올곧은 성품의 소유자입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단순한 재난 영화가 아니라 인간 존재에 대한 깊은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생존을 위한 갈등 속에서 각 인물들은 자신의 가족과 타인을 고려하며 고뇌하게 됩니다. 극한 상황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이기심과 연대의 모습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며 생존을 위한 갈등 속에서 인물들은 각자의 본능을 드러내며 인간의 복잡성을 보여줍니다. 영화는 "누가 더 나쁘고 좋다고 말할 수 없는 상황"을 통해 관객에게 도덕적 딜레마를 제기합니다.
영화는 한국 사회에서 아파트에 대한 강한 집착과 계급 문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황궁 아파트 주민들은 외부인을 배척하며 자신들의 안전을 지키려 하지만, 이는 결국 서로를 해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러한 모습은 현대 사회의 불평등과 갈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합니다.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뛰어난 연출과 배우들의 명연기로 관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깁니다. 영화는 단순히 재난 상황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 본성과 사회적 갈등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하게 합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겪고 있는 갈등과 고민을 부각하며 , 관객들은 이 영화를 통해 "진정한 유토피아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될 것입니다.